중국 공공기관 직원들 아이폰 금지령?
중국의 공공기관이 직원들에게 아이폰을 직장에 가져오지 말라고 지시를 했고
이러한 아이폰 금지령은 다른 공공기관과 국영기업 까지 전파 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현재 아이폰 15 시리즈 출시를 앞두고 있는 애플 입장에서는 상당한 악재가 될 것으로 우려됩니다.
중국의 아이폰 판매량은?
애플의 중국 시장 장악령은 무시 못할 수준이며 세계 3위의 판매 시장으로 형성 되어 있습니다.
지난해 애플의 전체 매출 18% ~ 19% 사이를 중국이 담당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애플은 중국이 시장의 큰 고객과 동시에 애플의 최대 제조 업체 폭스콘 또한 중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애플 판매금지령으로 인한 타격은?
애플의 시가 총액은 약 2조 8000억 달러에 육박해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하지만 이번 중국 내 관영 기업 과 정부 공공 기관 직원에게 금지령이 발표된 이후
애플 주가는 이틀 연속 하락하며 총 6% 이상 하락하였으며 이는 2000억 달러 가까이
하락한것으로 나타납니다.
아직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과 애플측의 공식 입장도 내놓지 않는 상황입니다.
이로인해 스마트폰 반도체 회사 퀄컴은 주가가 7% 이상 하락하였으며
한국의 SK하이닉스 또한 주가가 4% 하락했습니다.
중국의 애플 판매 금지령의 원인
미국과 중국의 갈등으로 인해 민영기업까지 손해를 보고 있으며 미국은 올해 동맹국인 일본, 네덜란드와 함께
반도체 기술에 대해 중국 접근을 제한하는 협업을 하였고
이에, 중국 또한 반도체 산업의 핵심 소재 2종의 수출을 제한하며 보복하였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은 반도체 제조업을 활성화 하기 위해
약 400억 달러 규모의 새로운 투자를 준비중 인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애플의 현재 대비 방법은?
애플은 지금까지 아이폰 제품 대부분을 중국 공장에서 생산해 왔으나 미국-중국 갈등이 고조되며
일부 생산을 중국 외 지역으로 이전을 추진중입니다.
특히 '제로 코로나' 정책을 표방하며 중국의 광범위한 봉쇄 조치를 감행하며 펜데믹 상황동안
애플은 생산에 큰 차질을 빚었습니다.
아이폰14 생산의 경우 인도 생산을 시작으로 조금씩 인도 생산을 확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2025년에는 아이폰 생산의 전체 4분의 1이 인도에서 생산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또한 폭스콘사가 베트남에 15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하면서 베트남 북부 지역 공장을 확충할려고
노력 중입니다.
결론
이번 사태로 인해 애플은 많은 타격을 입었으며 이번에 중국의 규제가 계속 지속된다면
애플 1차 출시국이나 2차 출시국이 조금 변동이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애플의 최대 고객인 중국에서의 사용금지가 발표가 됨에 따라 애플 입장에서는 결국 다른 시장으로
물량을 많이 분배 하여 출고를 할수 밖에 없는 입장이므로 1,2차 출시국의 많은 물량 배분으로 인해
기존 제품 생산을 소진시킬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즈니플러스 할인종료 예정 41% 할인받으세요! (0) | 2023.09.18 |
---|---|
아이폰15 국내출시일,사전예약 정보 (0) | 2023.09.15 |
아이폰15 시리즈 출시발표! (0) | 2023.09.13 |
아이폰15 출시 일정과 가격정보 (0) | 2023.09.07 |
갤럭시Z폴드5 톰브라운 에디션 출시 (0) | 2023.09.07 |